1778: [반복-시뮬] 콜라츠 여정의 최고점

메모리:128 MB 시간:1.000 S 표준 입력 및 출력
문제유형 채점방법:일반 만든사람:
제출:2 통과:2

문제설명

콜라츠 추측(Collatz conjecture)은 1937년에 처음으로 이 추측을 제기한 로타르 콜라츠의 이름을 딴 것으로 3n+1 추측울람 추측, 혹은 헤일스톤(우박) 수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콜라츠 추측은 임의의 자연수가 다음 조작을 거쳐 항상 1이 된다는 추측이다.

  1. 짝수라면 2로 나눈다.
  2.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한다.
  3. 1이면 조작을 멈추고, 1이 아니면 첫 번째 단계로 돌아간다.

예를 들어, 6에서 시작한다면, 차례로 6, 3, 10, 5, 16, 8, 4, 2, 1 이 된다.
수학동아리는 X에서 시작해 규칙을 반복하는 동안, 언젠가 지나간 값 중 가장 큰 수를 기록장에 표시한다. 1에 도착할 때까지의 여정에서 만난 최댓값을 출력하라.

입력조건

정수 X(1≤X≤10^9)

출력조건

콜라츠 과정을 거치는 동안 등장한 최댓값

입력예시 복사

6

출력예시 복사

16

힌트

6일 경우 짝수이므로 3이 되고
3은 홀수 3*3+1 = 10이 되고
10은 짝수 5가 되고
5는 홀수 16이 되고
16은 짝수 8이 되고
8은 짝수 4가 되고
4는 짝수 2가 되고
2는 짝수 1이 된다.
이때 가장 큰값은 16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