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5: [배열-이론] 첫 번째와 마지막 원소

메모리:128 MB 시간:1.000 S 표준 입력 및 출력
문제유형 채점방법:일반 만든사람:
제출:2 통과:2

문제설명

1차원 배열(array)은 **같은 자료형의 값**을 연속한 기억공간에 저장하는 구조이다. C에서 `int a[5];`라고 선언하면 길이 5의 정수 배열이 만들어지고,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즉 첫 원소는 `a[0]`, 마지막 원소는 `a[4]`이다(길이가 `n`이면 마지막 인덱스는 `n-1`).

정수 5개를 배열에 저장한 뒤, **첫 번째 원소(`a[0]`)와 마지막 원소(`a[4]`)**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하시오.

힌트(C) — 입출력 뼈대만 제공합니다.
int a[5];
for(int i=0;i<5;i++) scanf("%d",&a[i]);
/* TODO: a[?]와 a[?]를 공백으로 출력 */
힌트(Python) — 입출력 뼈대만 제공합니다.
a = list(map(int, input().split()))
# TODO: a[?]와 a[?]를 공백으로 출력
입력 범위 예시: 각 정수는 대략 −10^9 ~ 10^9 범위.

입력조건

한 줄에 정수 5개가 주어진다.

출력조건

첫 번째 원소와 마지막 원소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입력예시 복사

10 20 30 40 50

출력예시 복사

10 50

힌트

배열 길이가 n이면 유효 인덱스는 0 ~ n-1. 범위를 벗어나면 접근하면 안 된다.

출처